하스스톤® 등급전 3월 시즌 아시아 서버 1위 - 사냥고공싱 선수 인터뷰

하스스톤® 등급전 3월 시즌에서 아시아 서버 1위를 달성한 사냥고공싱 선수를 만나보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사냥고공싱님. 블리자드와의 인터뷰는 처음인데, 팬들에게 인사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하스스톤 선수이자 스트리머인 사냥고공싱입니다. 요즘 방송 열심히 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현재 해외 팀을 구하고 있으니 저에게 관심 있으신 팀은 언제든지 연락 바랍니다! :)

아시아, 유럽 서버를 정복하고 미국 서버도 도전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양한 지역의 전설 플레이어들을 다 경험해본 입장에서 볼 때, 각 서버의 차이가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우선 아시아는 랭크에 강한 1티어 덱을 많이 사용해요. 예를 들면 위니 흑마나 비밀 성기사 같은 덱을 많이 만나요. 유럽의 경우는 덱은 비슷한데 한 두 장 정도 다른 카드를 쓰는 덱이 자주 보여요. 미국 서버는 의외로 공격적인 어그로 덱을 많이 사용해요.
전체적으로 메타 공유가 잘 되어 있어서 서로 완전히 다르지는 않아서 어디가 더 어렵거나 쉽다고 말하기 힘들어요. 굳이 꼽자면 아시아 서버는 정형화된 덱들을 대부분 사용해서 예측이 용이한편이지만, 유럽이나 미국 서버는 등급전에서도 실험 덱을 많이 사용해서 예측 불허의 상황을 자주 맞이 했어요.
미국 서버에서 1등을 하지 못했던 가장 큰 이유는 항상 시간 부족이었어요. 아시아 1등 만들고 나서 미국 전설 만들려다가 실패도 했고, 한번은 전설은 미리 만들어 놨는데, 마감 시간 8시간 남겨두고 3000등 정도에서 시작해서 결국 못하기도 했어요. 그래도 100등 안에 들긴 했어요.

사냥고공싱 선수의 등급전 순위는 언제나 큰 화제입니다. 그 비결에 대해 자세히 말씀 해주실 수 있을까요?
저는 작년 5월부터 계속 드루이드 위주로 해왔어요. 요즘이야 메타에서 드루이드가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예전에는 그렇지 않았죠. 결국 꾸준히 해서 익숙하고 잘 하는 덱을 사용한 것이 많이 도움이 됐어요. 이번에 1등 달성할 때는 미드 드루이드, 위니 흑마, 템포 법사를 사용했어요.
등급전을 잘하는 비결은 뭐니뭐니해도 정신력이에요. 보통 한번 지면 그게 마음에 걸려서 그 다음 판도 내리 질 때가 많아요. 졌을 때는 화장실을 가거나 물을 한잔하면서 잠시 쉬어 주고, 연승 분위기가 왔을 때 달리는 편 입니다.
또 하나의 팁은 플레이 시간이에요. 반 농담이지만, 저는 아무래도 친구 목록에 상위권 선수들이 많아서, 보통 그 선수들이 많이 없는 새벽이나 낮 시간을 틈타서 하기도 하고, 아무래도 저녁에는 하는 사람이 많아서 직업 예측도 어렵고, 비슷한 순위를 많이 만나서 승률이 떨어지거든요. 새벽이나 낮에는 동일 인물의 동일 덱을 만날 확률도 높아서 예측하기가 쉽고, 또 낮에는 핸드폰으로 하시는 분들이 많아 조금 유리하기도 한 거 같아요. :)

한국 선수들의 해외에서의 활약이 점점 더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사냥고공싱 선수의 올해 계획은 어떻게 되시나요?
개인적으로 이번 싱가포르 대회를 다녀와서 많은 것을 느꼈어요. 세계 대회에 참여해보니 장점이 많더라고요. 우선 요즘 메타에서 어떤 덱이나 조합이 강한지 많이 배우게 되고, 또 해외 플레이어들과 교류하는 것도 신선했어요. 앞으로도 Dreamhack 등의 해외 대회에 제 돈을 내서라도 참여를 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한국 선수들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생각해요. 이미 Kranich, Ddahyoni, Handsomeguy 선수 등이 그걸 증명했다고 봐요. 그런데 그에 비해 하스스톤 선수들의 여건은 부족하다고 생각해요. 해외 프로팀들은 경비도 지원해주는 등 전반적인 관리를 해주거든요. 우리나라 선수들도 그런 지원을 받으면 더욱 더 멋지게 활약할 수 있으리라 믿어요.

마지막으로 팬 분들에게 앞으로의 각오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앞으로 있을 아시아 태평양 춘계 및 하계 챔피언십, 그리고 라스트콜까지 참여해서 꼭 한국 대표 선수로 블리즈컨 무대를 밟고 싶습니다. 올해 안되더라도 내년에도 쭉 열심히 할 생각이니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사냥고공싱 선수 방송 보기


사냥고공싱 선수 덱


소셜 서비스

갤러리에서보기